어.........
이항계수를 먼저 알아보면,
더보기

'이항계수 : 이항식을 이항정리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' 인데...
사실 우리가 알고있는 '조합'과 같다.
=> n개의 원소를 가지는 집합에서 k개의 부분집합을 고르는 경우의 수
라는 사전적 정의를 갖는다.

또한,
nCk = nC(n-k)
라는 성질을 갖는다.
이제 위의 식을 참고해서 코드로 구현만 해주면 끝
// 11050 이항계수1
let input = readLine()!.split(separator: " ").map{Int(String($0))!}
let result = getFactorial(input[0]) / (getFactorial(input[1])*getFactorial(input[0]-input[1]))
print(result)
func getFactorial (_ num:Int) -> Int {
if num <= 1 {
return 1
}
return num * getFactorial(num-1)
}
'알고리즘문풀 with SWIFT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ift ) 백준 1010 다리놓기 (0) | 2022.04.28 |
---|---|
swift ) 11051 이항계수2 - 런타임에러 해결.. (0) | 2022.04.27 |
swift ) 백준 3036 링 (0) | 2022.04.25 |
swift ) 백준 2981 검문 - 시간초과 극복!!!!!!!!!!!!!!!!!!! (0) | 2022.04.25 |
swift ) 백준 1934 최소공배수 feat. 재귀함수&유클리드 호제법 (0) | 2022.04.22 |